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6월 27일 금융위는 수도권 중심의 과열을 막기 위한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전방위적 대출 압박으로 갭투자자를 억누르겠다는 취지이나 현재 부동산 시장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오히려 실소유자들만 억압하는 정책이 되어 버렸는데요. 아파트 대출 규제 강화 내용과 달라진 조건들 그리고 어떠한 방책을 세워야 하는 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
🔍 왜 지금 대출 규제가 강화됐나?
2025년 4~5월 금융권 가계대출이 매월 5~6조 원씩 증가하면서 수도권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 과열 조짐이 뚜렷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6.27 대책을 통해 대출 규제에 나섰습니다.
📋 주요 대출 규제 요약
- 생애최초 주담대 LTV 80% → 70%, 전입 의무 6개월 도입
- 수도권 규제지역 주담대 최대한도 6억 원 설정
- 소유권 이전 전 전세대출 금지
- 차주 연소득 이내 신용대출 한도 제한
- 주담대 만기 최대 30년 제한
- 생활안정자금 목적 대출은 1억 원 제한 (다주택자는 금지)
- 전세대출 보증비율 90% → 80% (7.21부터 적용)
💸 금리는 그대로, 조건은 강화
아파트 대출금리 자체는 변동 없음. 다만 대출 접근 조건이 크게 바뀌면서 실수요자와 투자자의 대출 환경은 모두 달라졌습니다.
🔍 전망 및 조언
이제는 단순 금리가 아닌, ‘내가 대출을 받을 수 있느냐’가 더 중요해진 시대입니다. 정책 내용을 꼼꼼히 확인한 후, 계획적인 내 집 마련 전략이 필요합니다.
✅ 6.27 대책, 대출 받기 어려워졌나?
2025년 6월 27일 금융위는 수도권 중심의 주택 대출 증가에 대응해 강도 높은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실수요자도 예외는 아닙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 Q1. 금리가 낮아진 건가요? → A. 아니요. 금리는 그대로이고 조건이 강화됐습니다.
- Q2. 생애최초 구입자는 어떻게 바뀌었나요? → A. 수도권 LTV 70%, 전입의무 6개월 신설
- Q3. 수도권 대출한도는? → A. 최대 6억 원
- Q4. 신용대출은요? → A. 연소득 이내로 제한
- Q5. 전세대출 가능할까요? → A. 소유권 이전 전 전세대출 금지
- Q6. 주담대 만기는요? → A. 최대 30년 이내 제한
- Q7. 생활자금 대출은요? → A. 1억 원 한도, 2주택자 금지
- Q8. 다주택자는 대출 못 받나요? → A. 수도권 추가 매입시 LTV 0%, 사실상 불가
- Q9. 지방은 해당 안 되나요? → A. 수도권 규제지역 중심 적용
- Q10. 언제부터 시행되나요? → A. 6월 28일부터 대부분 시행, 일부는 7월 21일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LH 든든전세주택 신청하자 ! | 신청조건과 방법
전세사기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걱정없는 전세집을 구하시려는 청년들이 고민이 참 많을 겁니다. 전세보증금도 100% 지키면서 저렴하게 구하고 싶은 사회초년생들을 위해 정부에 추진
first.free-insight.com
LH 든든전세 vs HUG 든든전세 차이 완벽정리!
갑작스러운 이재명 정부의 대출규제 정책으로 전셋집을 구하려는 사회초년생들은 멘붕에 빠뜨렸습니다. 이에 맞춰 나온 것이 LH 든든 전세와 HUG 든든 전세인데요. 비슷한 이름이지만 안의 내용
sec.free-insight.com
🧠 마무리
대출은 조건이 전부입니다. 이젠 금리보다 ‘대출이 가능하냐’가 더 중요한 시대죠. 6.27 대책 이후의 기준을 잘 숙지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이재명 정부의 대출 규제 정책은 결국 갭투자자가 아닌 실소유자들에게 직격탄을 날리는 정책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실수요자를 위한다는 정책이 정작 실소유자를 보호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에서 어떤 방법으로 내 집 마련을 하실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