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갖은 현금을 지키기 위해 손쉽게 택하는 방법이 바로 다주택 투자입니다. 내 자산을 지키면서 동시에 임대물량을 시장에 내놓아 임대차 안정을 돕지만 여기에 가장 큰 걸림돌이 바로 세금인데요. 다주택자의 재산세는 주택 수와 공시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2025년 다주택자 세금 계산 방식, 중과세율, 신고 및 납부 방법, 절세 전략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아래 버튼을 눌러 직접 신고 및 납세를 하시기 바랍니다.
🏘 다주택자 재산세, 왜 더 많이 내야 하나요?
정부는 주택 시장의 투기 억제를 위해 다주택자에게 더 높은 세율(중과세)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가 주택이거나 수도권 내 다주택자일 경우 세금 부담이 단독 소유보다 훨씬 큽니다.
📊 2025년 기준 재산세 기본 세율
과세표준 | 1 주택자 세율 | 다주택자 세율 |
6천만 원 이하 | 0.1 % | 0.2 % |
6천만 초과 ~ 1억5천 | 0.15 % | 0.3 % |
1억5천만 원 초과 | 0.25 % | 0.4 % |
📌 1주택자의 경우 공시가 9억 이하일 경우 세율 인하 적용
📌 2주택 이상 보유 시 중과세율 적용
🧾 다주택자 판정 기준은?
- 📆 과세 기준일: 2025년 6월 1일
- 🏠 동일 세대 내 주택 수 합산
- 📌 세대 분리해도 주소지가 같으면 다주택 간주
- 📌 조정대상지역 다주택자는 종부세도 중과
💳 납부 방법은?
- 💻 위택스 (wetax.go.kr): 카드, 계좌이체, 가상계좌
- 📱 스마트위택스 앱: 납부내역 조회 및 모바일 결제
- 🏦 은행 방문: 고지서 지참 후 무인기 또는 창구 납부
- 🔁 자동이체 설정: 전년도 등록자 자동 연장 가능
📌 20만 원 이하일 경우 7월 1기분에 일괄 부과
📌 그 외는 1기(7월) + 2기(9월) 분납
📆 납부 기한
기수 | 납부 기간 | 대상 |
1기 | 2025년 7월 16일 ~ 7월 31일 | 주택, 건축물 |
2기 | 2025년 9월 16일 ~ 9월 30일 | 주택(2기분), 토지 |
🧮 다주택자 재산세 예시 계산
🏠 서울에 공시가 3억 원 아파트 2채 보유 시
- 과세표준: 3억 × 60% = 1.8억
- 세율: 다주택자 → 0.3%
- 1.8억 × 0.3% = 54만 원 (1채당)
- 총 2채 → 108만 원 납부
💡 절세 방법은 없을까?
전략 | 설명 |
세대 분리 | 주소지까지 분리되면 주택 수 줄이기 가능 |
공동명의 활용 | 지분 분산으로 과세표준 낮추기 (단, 종부세 유의) |
실거주 증명 | 1가구 1주택 인정 시 감면 적용 가능 |
저가 주택 보유 | 공시가 1억 이하 주택은 중과 제외 가능 |
부부 증여 | 장기 전략으로 절세, 단 증여세 고려 필요 |
❓ 자주 묻는 질문 (Q&A)
- Q1. 2주택이면 다주택자 맞나요?
→ 네. 2채 이상 보유자는 다주택자로 간주됩니다. - Q2. 세대 분리하면 주택 수 줄어드나요?
→ 주소지까지 분리해야 인정됩니다. - Q3. 공동명의는 유리한가요?
→ 재산세는 유리할 수 있으나 종부세에는 불리할 수 있습니다. - Q4. 감면 혜택 받을 수 있나요?
→ 다주택자는 감면 대상 제외됩니다. - Q5. 임대 등록하면 세금 줄어드나요?
→ 현재는 대부분 혜택 종료되었습니다. - Q6. 매도하면 주택 수 줄어드나요?
→ 기준일(6월 1일) 이전 매도 시 주택 수 제외됩니다. - Q7. 종부세도 중과되나요?
→ 네. 다주택자는 종부세 중과도 함께 적용됩니다. - Q8. 공시가 얼마부터 중과인가요?
→ 주택 수로 판단하며, 공시가 자체 기준은 없습니다. - Q9. 자녀 증여 시 주택 수 줄어드나요?
→ 줄어들 수 있으나, 증여세 발생 주의 - Q10. 납부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 3% 가산금 + 체납 시 압류 및 신용 불이익 발생
🔎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년 희망저축계좌 신청 조건 총정리! 가입 필수?!
세상에 부자 부모님을 골라 태어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우리는 더 노력해야만 하는데요. 정부가 지원하는 희망저축계좌는 저소득층의 목돈 마
first.free-insight.com
2025 인천 청년도전지원사업, 이건 무조건 신청 !
취업시장이 참 바늘구멍과도 같습니다. 그렇다 보니 무기력한 청년, 구직을 포기한 청년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인데요. 이런 친구들을 위한 인천 청년도전지원사업! 심리 상담부터 진로
first.free-insight.com
😊 마무리 멘트
다주택자의 재산세는 생각보다 복잡하고,
세율·공시가·주택 수·명의 구조에 따라 세금 차이가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까지 벌어질 수 있습니다.
- ✔ 정확한 주택 수 파악
- ✔ 기준일 이전 구조 조정
- ✔ 납부기한 준수는 필수
2025년 재산세, 다주택자라면 전략이 답입니다. 💡
지금부터 준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