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0·15 대책은 전세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발표했지만, 실제 서울 전세 시장은 전세 매물 감소·월세 증가·전셋값 상승이라는 명확한 신호를 보내고 있다. 현장에서 나타나는 흐름은 정부 설명과 다르게 전세난의 초기 단계로 해석된다.
✔ “전세 영향 크지 않다” 발언 출처
→ 발언 주체는 국토교통부 관계자 → 갭투자 여부는 기사·공개정보 어디에도 기록 없음 (확인 불가)
→ 발언 주체는 국토교통부 관계자 → 갭투자 여부는 기사·공개정보 어디에도 기록 없음 (확인 불가)
1. 실제 데이터는 정부 해명과 완전히 다르다
| 항목 | 현황 |
|---|---|
| 서울 전세 매물 | 26,467건 → 26,223건 (감소) |
| 서울 전세수급지수 | 104.4 (수요 > 공급) |
| 서울 전셋값 | 전주 대비 +0.15% |
| 서울 월세 매물 | 22,370건 → 22,569건 (증가) |
이 수치들을 종합하면, 전세 시장은 이미 공급 부족 → 가격 상승 → 월세 전환의 흐름으로 진입했다.
2. 10·15 대책이 왜 전세 공급을 줄였는가?
① 전세대출 규제 강화 → 자연스러운 전세 공급 축소
- 전세대출 DSR 강화로 세입자 접근성 하락
- 갭투자 차단 정책으로 ‘전세 끼고 매수’ 물량 자체가 사라짐
- → 전세 공급 감소는 구조적으로 당연한 결과
②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 전세 낀 매물 거래 불가
- 허가제가 적용되면 실거주 목적 외 매매가 막힘
- 전세 낀 매물은 거의 대부분 ‘거래 불가’ 상태
- → 시장에 전세 매물이 풀리지 못하는 구조
③ 규제가 오히려 FOMO 심리를 자극
- 규제는 ‘앞으로 더 오른다’는 신호로 작동
- 실수요까지 매수에 뛰어들며 전세 수요 증가
⚠ 문제는 규제가 효과를 발휘하기 전에 전세시장부터 먼저 흔들린다는 점이다.
전세 공급이 줄어드는 속도가 대출 규제 효과보다 빨랐다.
전세 공급이 줄어드는 속도가 대출 규제 효과보다 빨랐다.
3. 정부 해명에 대한 핵심 비판
① “영향 없다”는 판단은 이미 데이터와 충돌
전세수급지수 104.4는 “수요가 공급보다 많다”는 명백한 경고 신호다.
② 규제는 셌지만 공급 보완책은 없었다
전세 공급 감소 → 전세 가격 상승 → 월세화 가속이라는 흐름이 너무나 명확하다.
③ 시장 신호 무시에 따른 대응 지연 위험
전세난은 항상 “처음엔 작아 보이고, 나중엔 갑자기 심각해지는” 패턴을 가진다.
4. 전세시장 붕괴 방지 위한 보완 대책
- 전세대출 규제 일부 조정 및 예외항목 신설
- 월세 전환 가속을 방지하는 정책 필요
- 규제지역 내 기존 매물 순환 촉진 인센티브 도입
- 전세물량 감소 지역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결론
10·15 대책은 의도와 달리 전세 공급을 감소시키고 월세화를 가속하는 부작용을 먼저 만들어냈다. 정부의 “영향이 크지 않다”는 발언은 현실과 거리가 있으며, 지금이라도 전세시장 안정화 대책이 시급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