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울 전역 토지거래허가제 요약 (2025년 10월 기준)

by miles 300 2025. 10. 23.

서울시 전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였습니다. 2025년 10월 15일 공고된 이번 대책은 10월 20일부터 효력이 발생하며, 서울 25개 전 자치구와 경기 12개 지역이 동시에 포함되었습니다.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조치라는 정부의 설명과 달리, 실제 현장에서는 “대부분의 아파트가 허가 대상이 된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주요 내용

이번 허가제는 토지의 대지지분을 기준으로 합니다. 건물의 전용면적이 아닌 토지지분이 허가기준을 넘는 경우 반드시 관할 구청의 허가를 받아야 거래가 유효합니다. 특히 서울의 주거지역은 기존 법령상 90㎡(약 27평)이었던 기준이 이번에는 6㎡~18㎡(약 1.8~5.4평)으로 대폭 축소되어, 대부분의 공동주택이 사실상 허가 대상이 되었습니다.

📍 자치구별 허가 기준 요약

  • 6㎡ (약 1.8평): 강남·서초·용산·성동·광진·중구·종로
  • 10㎡ (약 3평): 송파·강동·영등포·동작·동대문
  • 12㎡ (약 3.6평): 마포·성북·관악·강서·양천·구로 등
  • 15㎡ (약 4.5평): 도봉·강북
  • 18㎡ (약 5.4평): 노원

상업지역은 150㎡, 공업지역은 150㎡, 녹지지역은 200㎡ 기준이 유지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아파트가 위치한 ‘일반주거지역’은 훨씬 낮은 6~18㎡ 기준이 적용되어, 실질적으로 서울 전역이 허가제의 영향을 받는 셈입니다.

 

🏢 아파트는 왜 포함될까?

아파트 거래 시 핵심은 ‘대지지분’입니다. 예를 들어 송파구의 전용 84㎡ 아파트라도 대지지분이 10㎡를 넘으면 허가 대상에 포함됩니다. 강남·성동처럼 6㎡ 기준인 지역은 소형 아파트라도 대부분 허가가 필요합니다. 반대로 도봉·노원처럼 15~18㎡ 기준인 지역은 일부 중대형 평형만 해당됩니다.

부동산 종류
부동산 종류

💬 Q&A: “과거 실거주 2년을 이미 채웠는데, 또 해야 하나요?”

답변: 해야 합니다. 조정대상지역 실거주 2년은 세금 비과세 요건이고, 토지거래허가제의 실거주 의무는 행정상 허가 조건입니다. 따라서 과거 실거주 경력이 있더라도 새로운 허가를 통해 거래할 경우 다시 2년 실거주 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해당 구청의 허가 조건에 명시되므로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 허가 없이 거래할 경우 불이익

  • 허가 없이 체결된 계약은 무효
  •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
  • 허가 후 2년간 실거주 의무 부여 가능

관청허가
관청허가

✅ 핵심 요약

  • 서울 전역 토지거래허가제 시행 (2025.10.20~2026.10.19)
  • 주거지역 허가기준: 6㎡~18㎡ (대지지분 기준)
  • 아파트 대부분 허가 대상 포함
  • 실거주 2년 의무는 세금 요건과 별개
  • 거래 전 구청 토지관리과 확인 필수

※ 자치구별 세부 기준은 고시문과 관할 구청 안내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특히 성동·용산·강남 등 일부 지역은 허가 심사가 매우 엄격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캡투자의 정의
캡투자의 정의
캡투자의 정의
캡투자의 정의
캡투자의 정의
캡투자의 정의
관청허가와 갭투자
관청허가와 갭투자
공무원 허가
공무원 허가
부동산
부동산
부동산
부동산
부동산
부동산
부동산
부동산
부동산
부동산